학생들의 대표 의결기구, 학생자치회 이야기
연신중학교 전교회장 - 이서찬
많은 학생들은 개학 후 학기 초에 교우 관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낍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해드릴 수 있는 학교의 조직 중 학생자치회는 오직 학생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어떤 일을 하는 기구인지 궁금하신지 않으십니까? 그래서 학생회를 대표하는 제가 여러분께 이 기구에 대한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교내 최고 의결기구, 학생회
학생자치회(학생회)는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활동하며 한 학교의 학생 전체를 대표하는 집단입니다. 학생들의 복리 증진과 교내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내는 논의를 진행하고, 교장선생님께 건의를 올립니다.
보통 학생회는 회장단과 여러 부서들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든 학생회 구성원들은 학생회 임원이 됩니다. 산하 부서는 각 부서의 부장과 부원들로 구성돼 있습니다. 학교마다 구성이 조금씩 다를 순 있지만, 학생회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부서로는 여러 교내 행사를 주관하는 체육부와 문예부, 자료 제작과 예산 관리를 맡는 정보부와 총무부 등이 있습니다. 각 부서는 맡은 임무를 회장단과 같이 수행합니다. 그렇다면 학생회 소속이 아닌 사람은 학교에 목소리를 낼 수 없는 것일까요?
대의원회, 학생들의 목소리의 장
많은 학교가 학생회와 별개로 각 학급의 회장으로 이뤄진 대의원회를 둡니다. 실질적으로 모든 학생들이 학교의 일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는 힘드니 각 학급을 대표하는 반장들로 대의원회를 구성하는 겁니다.
학생회와 대의원회 및 선생님들을 포함한 회의에서는 주로 각 학급 회장들이 학급내의 사안을 다루는 ‘학급자치회의’에서 나온 이야깃거리에 대해서 회의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의된 사항이나 안건에 대해서는 학생회에서 따로 논의합니다.
국가기관으로 보는 학생회와 대의원회
그런데 이 두 기구, 국가기관과 유사하지 않나요? 국가기관은 크게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로 나뉩니다. 학교는 행정부와 입법부로 구성돼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행정부 즉, 정부가 하는 일은 법률을 집행하고, 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는 것입니다. 이 모습은 학생회와 유사합니다. 조직에 대해서도 학생회장은 대통령, 부회장은 국무총리, 각 부 부장들은 행정 각 부의 장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입법부, 즉 국회는 국민이 선출한 국회의원들로 구성되어 있고, 국가 통치의 기초가 되는 법률을 만들거나 고칩니다. 학급은 지역구와 비슷하고, 그 안에서 선출된 반장은 국회의원과 유사합니다. 하는 일로 봤을때에도 국회와 대의원회는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이 방식은 국회에서의 법률 제정 절차와도 닮았습니다.
학생자치회의 본질적 문제
뭐든지 일이 수월하면 좋겠지만, 본질적인 문제가 발생합니다. 위의 활동들이 실제로 가능하려면 학생회의 우두머리인 학생회장부터 학교민주주의의 실현에 대한 의지가 있어야 하며, 독단적 결정과 자신의 생각을 고집하기보다는 학생회 임원들과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며 논의해야 합니다. 각 부서의 부장들은 지속적으로 정책과 사업들을 수립하거나 제안하여 학생회 전체가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학생들과 교장·교감 선생님, 일반 선생님들의 지지도 필요합니다.
마치며: 학생들의 관심
학생회와 대의원회의 이야기는 자세히 몰랐을 학생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학생회는 여러분들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체육대회나 축제 등 행사는 학생회에서 주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입생 여러분들도 학교를 바꾸는 데 힘쓰고 싶다면 전교 회장 선거에 출마해 학생회를 운영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