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중학교 사회①은 ‘권력을 가진 소수가 아닌 다수의 시민에 의해 국가가 통치되는 정치 형태’를 민주주의라고 정의내린다. 또한 민주주의는 인간 존엄성 실현을 근본 이념으로 하고, 자유와 평등을 보장한다고 서술한다. 1987년 개정된 대한민국 헌법 제1장 제1조 제1항에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쓰여 있고, 제2항에는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되어 있다.

충암고등학교 출신으로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고, 법조인으로 평생을 살아온 사람이 중학교 사회 교육과정에 나오는 민주주의를 모르고, 헌법 제1조에도 서술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기본 원리와 기틀을 망각했다는 사실은 새삼 놀랍다. 심지어 이런 사람이 대한민국을 이끄는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는 사실은 더욱 놀랍다. 대통령이 되어 일본에 굽신대고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는 것도 모자라 전 국민의 기본권을 극도로 침해하는 비상계엄을 선포해 자신에 반대되는 세력을 ‘종북 반국가세력’이라 칭하고 국회를 봉쇄해 비상계엄의 해제를 막았다. 유력 정치인들을 납치하려 했고, 군대를 동원해 본인이 맹신하는 허무맹랑한 부정선거 논란을 파헤치려고 했다.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군사반란을 일으키려고 했다는 것이다. 이런 일련의 행위들이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저질러졌다는 것은 전 국민에게 충격을 가져다줬다.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저지른 온갖 반민주적인 행위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아직 죽지 않았다. 200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국회 앞에 모여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했고, 이러한 국민의 뜻을 받든 국회의원들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킨 것이다. 대통령의 망상과 내란 획책을 국민들이 촛불로 막아섰다. 청소년들도 역사의 흐름에 동참했다. 시험 기간인데도 촛불집회에 참여해 목소리를 냈고, 여러 청소년 단체에서는 시국선언을 내 탄핵의 거대한 폭풍에 뛰어들었다.

대한민국은 아직 죽지 않았다.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역사의 한 페이지를 5천만 국민이 다 함께 써내려가야 한다. 윤석열 정권 2년 7개월간 망가진 남북관계를 되살려 평화를 찾아야 하고, 대통령의 위법·위헌적인 계엄 선포로 인해 벼랑 끝에 내몰린 한미관계와 대통령의 무리한 굴종 외교로 인해 360도 바뀐 한일관계를 복구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두 차례나 시민의 힘으로 부정한 권력을 자리에서 끌어내린 경험이 있다. 이런 시민의 힘으로, 민주주의의 힘으로 국가를 다시 세워야 한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