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세 도입 반대되어... 지질학계, "시기상조" 판단

지질학계가 새로운 지질시대인 '인류세' 도입을 반대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2년여간의 심도 있는 논의 끝에 나온 결론이다.

인류세(Anthropocene)는 현재 공식 지질시대인 홀로세(Holocene) 이후의 새로운 지질시대로 제안된 시기다. 인간 활동이 지구 시스템에 전례 없는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지질시대로 구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연구진은 특히 1950년대 이후 전지구적으로 발견되는 핵실험의 방사성 동위원소 흔적을 인류세의 시작점으로 제안했다. 이는 지질학적 기록에서 명확히 식별 가능한 표지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지질학계는 최근 진행된 논의에서 인류세 도입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인간 활동이 지구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공식적인 지질시대 구분으로 인정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이다.

인류세의 시작점을 둘러싼 학계의 의견 불일치도 주요 쟁점이다. 일각에서는 1950년대가 아닌 산업혁명 시기부터를 인류세의 시작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인류가 화석연료 사용을 본격화하면서 지구 환경에 큰 변화를 초래하기 시작한 시점이라는 논리다.

인류세를 지시하는 지표물질로는 핵실험으로 인한 플루토늄 외에도 미세플라스틱, 알루미늄, 콘크리트 등 인간 활동의 산물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물질들은 지구의 지질학적 기록에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다.

비록 공식 지질시대 도입은 거부되었으나, '인류세'라는 용어는 이미 학계와 대중 담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완전히 사라지거나 대체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오히려 이번 논의를 계기로 인류가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찰과 논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연합뉴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