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Photo by Taylor Brandon / Unsplash

역사적 배경

예루살렘

팔레스타인 지역에 속해 있는 에루살램은 역사적으로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의 성지였다. 특히 기독교를 파생시킨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이 원래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했는데, 기원전 6세기경부터 팔레스타인을 자발적으로 떠나거나 쫒겨나기 시작했다. 그 후 19세기까지 유대인들은 전 세계에 뿔뿔이 흩어져 살게 된다. 하지만 19세기 민족주의 열풍이 불면서 유대인들은 본래 유대인들이 살던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자는 의미의 ‘시오니즘’을 제창하게 된다.

19세기경 팔레스타인에 거주하던 아랍인들은 유대인 이주 초기 유대인들을 환영했다.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 중 영국은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 국가를 수립하게 해 준다는 내용의 약속을 하게 되고, 1920년경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영국의 약속으로 인한 유대인들의 이주가 더욱 가속화되면서, 아랍인들은 점차 시오니즘, 더 나아가서 유대인들에 반감을 품게 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 나치의 홀로코스트(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 이로 인해 유럽에 거주하던 유대인 약 900만 명 중 600만 명 가량이 가스실, 총살, 생체실험 등으로 학살된다)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은 서방 국가들에 독자적인 유대 국가 건국을 요구한다. 그리고 서방 국가들이 이에 동의하여 1948년 이스라엘이 수립된다. 하지만 지난 1차 세계대전 중 영국은 아랍인들에게도 팔레스타인 지역에 아랍 국가를 수립하게 해 준다는 내용의 약속을 했고, 이와 같은 영국의 이중계약으로 인해 유대인들과 아랍인들 사이 팔레스타인 영토의 소유권에 대한 분쟁이 발생한다.

지금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직후 아랍 국가들이 건국에 반대해 선전포고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차 중동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당시 아랍 연맹에 속한 여러 국가들과 갓 생겨난 이스라엘 간 전쟁이었던 만큼, 이스라엘이 절대적으로 열세에 있었지만, 미국·소련·체코(당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지원에 힘입어 이스라엘이 승리하게 된다. 제1차 중동전쟁 이후 1970년대까지 총 4차례의 중동전쟁이 발발하게 되고, 현재까지도 소규모 영토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하마스는 팔레스타인의 정당이자 테러 단체로, 최근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 정상화를 견제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공격하게 된다. 하마스의 선제 타격 이후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공격은 계속되고 있으며, 하마스는 무기를 지키기 위해 병원, 학교 등 민간 시설을 무기 근처 또는 위에 두는 등 민간인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은 지난 4월 1일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을 국제법을 어기고(해외 주재 영사·대사관은 전시에도 보호받아야 한다) 공격했는데, 이에 맞서 오늘(14일) 이란은 ‘진실의 약속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이스라엘을 100여기의 미사일과 드론을 이용해 공격했고, 이스라엘은 이러한 공격을 자국의 ‘아이언 돔’ 시스템을 이용해 약 99% 격추·요격했다고 밝혔다. 역사적으로 이란이 자국 본토에서 이스라엘 본토를 공격한 첫 사례인 만큼, 제5차 중동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어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