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Jeans, 임시 활동명 NJZ로 결정…CNN과 단독 인터뷰

 지난 2월 7일, 그룹 뉴진스가 새 이름 '엔제이지(NJZ)'로 활동을 재개하며, 미국 매체 CNN과의 인터뷰에서 "더 이상 우리를 가로막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7일 공개된 인터뷰에서 NJZ는 오는 3월 홍콩에서 열리는 '컴플렉스콘 홍콩'에 출연해 신곡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새로운 팀명으로 팬들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고, 향후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하니는 인터뷰에서 어도어와의 분쟁을 언급하며 "우리는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니엘 또한 "현재로서는 모든 신뢰를 완전히 잃었다"며, 이번 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과거의 어려움을 딛고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며,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NJZ는 3월 21일부터 23일까지 홍콩 아시아월드 엑스포에서 열리는 '컴플렉스콘 홍콩'에서 신곡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은 인스타그램 계정을 새 팀명으로 변경하고, "2025년 엔제이지와 함께할 깜짝 놀랄 여정을 기대해 주세요!"라며 팬들에게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새 프로필 사진을 공개하며, 팀의 새로운 이미지를 선보였다.

 앞서 뉴진스 멤버들은 지난달 23일, '버니즈' 팬들을 위해 새로운 활동명을 공모한다고 알린 바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뉴진스라는 이름에 대한 정체성과 상징성을 강조하며, 어도어와의 법적 분쟁이 해결되면 팀명으로 돌아갈 수 있는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로 인해 팬들은 더욱 기대감을 가지고 이들의 활동을 지켜보고 있다.

 NJZ는 앞으로의 활동을 통해 팬들과 더욱 소통하며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이어갈 계획이다. 어도어는 뉴진스 멤버들의 일방적인 결정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며, 브랜드 가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된 법적 심문은 다음 달 7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예정이다. NJZ의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