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번·응암 중학교 설립 현황

수 년간 녹번동 일대가 재개발되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현재 응암동 8만여 명, 녹번동 3만6천여 명으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따라서 초등학교·중학교 수요도 증가했는데, 녹번·응암동 내 초등학교는 7개가 있어 초등학생 수요는 대다수 흡수가 가능한 반면, 녹번동과 응암동 내 중학교는 충암·영락중학교의 2개뿐이고, 두 학교 모두 응암동의 서쪽에 있어 녹번동 일대 개발된 녹번역e편한세상캐슬, 힐스테이트녹번역 2개의 아파트의 학생들은 영락중학교에 다니지만, 동쪽에 있는 힐스테이트 녹번, 래미안베라힐즈 등 5개 아파트 단지와 그 외 학생들은 모두 불광동에 위치한 연신·연천·불광중학교까지 원거리를 통학해야 하는 처지이다. 이에 따라 녹번·응암동에 중학교를 설립하자는 주장은 수 년 전부터 있어 왔다. 지난 2016년 은평구의회에서 응암동에 학교를 짓기 위해 이미 존재했던 학교용지를 ‘영락중학교와 충암중학교에 분산 수용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해제하고 아파트 2개동을 추가로 지었다. 하지만 녹번동 일대 아파트 입주가 시작된 후 영락중학교와 충암중, 불광중에 분산 수용되지 않고 연신, 연천중학교까지 학생들이 통학하게 된다. 따라서 통학 시간이 30분 이상 걸리는 등 문제가 드러나고 학부모들의 원성이 거세지자 2021년 은평구의회에서는 ‘녹번, 응암동 지역 중학교 설립 촉구 결의안’을 내고 속히 학교 부지를 확보해 중학교를 설립하자고 결의했다. 하지만 진행 상황이 학생과 학부모에게 잘 다가오지 않아 토끼풀 타임즈가 녹번동과 응암동이 속해 있는 은평 갑 국회의원 박주민 의원에게 진행 상황에 대해 질의했다.

박주민 의원에 따르면 녹번·응암 지역 중학교의 수요를 꾸준히 인식해 왔지만 학교를 설립할 부지가 충분치 않아 은평초등학교 부지를 이용한다고 한다. 불광동에 위치한 연천중학교는 매년 학생 수가 감소해 왔고, 감소 추세에서 2027년 이후에는 학교의 존립조차 의심되는 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연천중학교를 은평초등학교 부지로 이전해 ‘초·중 통합 이음학교’를 설립한다는 취지이다. 이러한 방침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과 박주민 의원은 연천중학교와 은평초등학교에서 각각 2회 공청회를 실시했으며, 학부모와 학생이 반대하지 않는다면 1~2년 후 은평초등학교의 구 건물 (본관, 후관)을 철거한 후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함께 이용하는 시설을 건설하여 2027년 개교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박주민 의원은 또한 이러한 과정에 대해 강동구에 비슷한 절차를 거쳐 설립된 ‘강빛초중이음학교’의 설립 절차를 예로 들었다.

하지만 은평초등학교를 철거한 후 새 건물을 짓게 되면 은평초등학교의 학생들은 몇 년간 학교 밖 컨테이너 학급에서 수업을 들어야 하는데, 은평초등학교는 현재 학생 수도 많은 축에 속해 이러한 일이 가능할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은평초등학교는 지난 몇 년간 주변의 재개발 여파로 인해 공사 분진과 소음 속에서 교육을 받았지만, 초등학교 건물 철거 후 새 건물을 짓게 되면 학생들은 다시 공사 분진과 소음 속에서 수업을 듣게 되는데, 학생들의 건강과 정서에 좋지 않을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킬 만큼의 계획을 은평구청과 박주민 의원이 발표할까. 우리 모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