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까지 확대된다

7월 중 시행...'섣부른 발표' 지적도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까지 확대된다

서울시가 지난 3월 24일 발표한 '규제철폐안'에 기후동행카드 청년권 혜택을 청소년까지 확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기존 기후동행카드 정책은 19세에서 39세 청년에만 약 7천 원가량의 할인 혜택을 제공했는데, 19세 미만 청소년의 경우 성인 요금을 내고 청년보다 비싸게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야 했다. 따라서 학교와 학원에 통학하는 청소년들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본지 설문조사 결과 중학생 84명 중 62%인 52명의 학생들이 '교통비가 부담된다'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성흠제 서울시의원은 지난해 11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심각성을 잘 알겠다"며 "빠르게 해결책을 마련해 보겠다"라고 말했고, 한창민 국회의원도 지난 2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청년보다 청소년 교통비가 많이 나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라며 "세대와 지역을 가리지 않는 전국적 무상교통 제도까지 논의를 확장시켜야 하겠다"고 밝혔다.

기존 기후동행카드 가격표

이러한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시는 3월 24일 내놓은 보도자료에서 '7천원 저렴한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을 13~18세 청소년에게도 확대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시행 일정과 방식에 대한 안내는 없었다.

토끼풀 취재 결과 아직 해당 정책에 대한 서울시와 보건복지부 간 협의는 완료되지 않았고, 서울시 관계자는 "7월 중으로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직 전부 결정되지도 않은 사안을 섣불리 발표했다'라는 지적도 있다. 성흠제 서울시의원은 토끼풀과의 통화에서 "시행 일정도 자세히 나오지 않았는데 너무 빠르게 해당 정책을 발표한 것 같아 아쉽다"며 "청소년 혜택 확대가 빨리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개편된 기후동행카드 가격표

이러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들 사이에는 기대감이 감돌고 있다. 연신중학교에 다니는 한 학생은 "기존 기후동행카드는 너무 비싸서 오히려 손해라 사용하지 못했는데, 청소년에게도 할인 혜택이 적용되니 살 만한 것 같다"고 말했고, 다른 한 학생은 "기후동행카드를 할인받아 구매해서 환경을 위해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청소년들은 통학과 여가 생활에 부담스러운 교통비를 지출해 왔다. 비록 시행 일정이 '7월 중이 목표'로 아직 구체적이지 않고, 청소년에 대한 추가 할인이 없어 청년 가격으로 구매해야 하는 등 아쉬운 점도 많지만, 청소년들의 교통비 부담 절감을 위한 서울시의 정책을 칭찬하는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