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hone 16e(xpensive).. 이거 맞나요?

애플의 만행, 그리고 최악의 실수

iPhone 16e(xpensive).. 이거 맞나요?

Apple은 2016년부터 가성비 시리즈인 'SE'시리즈를 발표해왔다. SE3에 이어 대부분 사람들이 추측한것과 다르게 SE4가 아닌 16e라는 모델명으로 나왔다. 우린 이제 아이폰 16e가 비판받는 이유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새로운 iPhone. 놀라운 실속.

이 제목은 아이폰 16e의 슬로건이다. 슬로건만 봐도 알다시피 실속, 즉 가성비를 중점으로 한 휴대폰이다. 하지만 아이폰 16e의 출시가는 99만원이다. 전작인 SE3이 650000원부터 시작했으니 약 300000원이 인상된거다. 가성비...라기엔 너무나 비싸진 16e, 장점과 단점, 그리고 빠진 기능들을 알아보자.

iPhone 16e의 모습 출처 = apple

빠진 기능들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바로 '맥 세이프 삭제'이다. 애플이 그렇게 강조하고 자랑하던 자신들의 기술 맥 세이프를 보급형이지만 이 기능을 뺀다는 것은 가성비적인 측면에서 다소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론 하드웨어적 차이가 있다. 아이폰 15와 16에 있던 '다이내믹 아일랜드'를 삭제했다. 나름 모델명에 16이라는 숫자가 들어가지만, 다이내믹 아일랜드를 뺐다. 이 때문에 영상 등을 볼 때 몰입감이 깨질 수 있다.
칩에서도 차이가 있다. 기존 아이폰 16에 들어가던 a18 칩은 똑같지만, 아이폰 16e에서는 GPU 칩 하나가 빠졌다. 실제 벤치마크 기록을 보면 아이폰 16은 GPU 벤치마크에서 27660의 점수를 보여주었지만, 아이폰 16e는 24,129점으로 약 3,000점 차이가 났다.


카메라에도 큰 단점이 있다. 이번 아이폰 16e는 카메라가 1개라 카메라가 2개 이상인 다른 모델들과 다르게 초 광각사진(0.5배 줌)이 안 된다.
아이폰 16e에는 애플이 자체 개발한 와이파이 모뎀이 들어갔다. 이 때문에 배터리 타임은 아이폰16보다 증가했으나 와이파이 안정성 및 연결 속도는 줄어들었다. 또, 와이파이 7, 6e도 빠져 쾌적한 인터넷 사용이 다소 힘들 수도 있다.


결론

이번 아이폰 16e는 가성비적인 측면에서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추후 17e에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발전을 위한 디딤판으로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