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서울청년동아리연합회, ‘사단법인 청년문화진흥원(YCPF)’으로 명칭 변경

"청년문화 활동과 사회 참여 확대 위한 새로운 도약"

사단법인 서울청년동아리연합회, ‘사단법인 청년문화진흥원(YCPF)’으로 명칭 변경
새로이 변경된 로고

서울시 내 청년들의 취미 활동을 지원해온 사단법인 서울청년동아리연합회가 ‘사단법인 청년문화진흥원’(Youth Culture Promotion Foundation, YCPF)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청년 문화와 사회 참여를 연계한 지원을 더욱 확대하게 된

이번 명칭 변경은 청년들이 가진 잠재력과 창의성을 사회와 유기적으로 연결하려는 새로운 비전을 반영한 결정이다. 기존의 청년 커뮤니티 조성 기능에 더해 복합 문화 공간 운영, 정책 발굴, 지역사회 연계, 강사 및 활동가 양성 등의 역할을 강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청년들의 사회 참여를 촉진하고 주도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어갈 계획이다.

(사)청년문화진흥원 심재학 이사장은 “청년들이 자유롭게 모이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간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사회와 협력하며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기여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한편, (사)청년문화진흥원은 최근 ‘강서 청년 네트워크 2기’ 발대식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오는 4월 4일부터 5일까지 열리는 은평구 벚꽃축제에 참여해 청년과 지역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앞으로도 서울 전역에서 청년들이 주체적으로 문화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