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 안전하지 않다" 최악 산불의 경고

산불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서울도 안전하지 않다" 최악 산불의 경고
안동 남선면까지 번진 산불

지난 22일, 최악의 산불이 시작되었다.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처음 발생한 산불은 바람을 통해 주변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그 후 강한 바람으로 인해 산불은 금세 안동·영양·영덕 지역까지 퍼져나갔고, 곧바로 경상북도를 집어삼켰다. 지난 3월 28일 의성과 안동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될 때까지 경북 산불은 자그마치 서울 면적의 75%를 태웠다. 이때문에 총 52명이라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451.6제곱킬로미터라는 큰 면적이 모두 불타버렸다.

이번 산불과 더불어 서울에는 3년 만에 건조 경보가 발령되며 산불의 위험성을 일깨웠다. 은평구 안에는 북한산을 비롯해 여러 큰 산들이 있다. 만약 북한산이 불탄다면 인근 학교나 주민들에게 큰 위험이 될 것이다. 산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다른 여러 산들로 번져가 우리 삶을 위협할 수 있다. 북한산은 돌산이어서 산불이 날 가능성은 적다. 하지만 만약 북한산에서 산불이 발생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

강릉 경포동 대피소의 모습

먼저 우리는 대피소로 대피해서 산불이 진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뉴스 방송과 산불로 진화의 전 과정을 살펴야 하고, 대피소에서 생활하며 진화 소식을 기다려야만 한다. 혹여나 밖에 나갔다가 연기를 마시거나 불씨로 인해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히 개인 행동은 삼가해야 하고 정해진 규칙과 안내에 따라야 한다. 산불이 진화된 후에도 늘 산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방화죄에 대한 세부 처벌규정

산불은 고의뿐만 아니라 실수라도 큰 처벌을 받게 된다. 자신의 의도 없이 실수로 산불을 일으켜도 방화죄에 해당해 징역까지 살 수 있다. 이 때문에라도 우리는 산불을 내지 않기 위해 조심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현재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부는, 산불에 취약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으므로 산불에 대해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문현철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은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고 한 행동이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꼭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더 이상 치명적인 산불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국민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김현지 수습기자


기사 더보기

4·19 정신 받들어 청소년 사회참여 늘리자

올해로 4·19 민주혁명이 65주년을 맞았다. 4·19 혁명은 헌법에도 실렸을 만큼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사건이다. 시민이 불의한 독재 정권에 항거해 살아 있는 권력을 끌어내린, 한 마디로 민주 혁명이다. 4·19 혁명에는 다른 의미도 있다. 청소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도화선을 당겼고,

편집부

조속한 개헌 필요하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헌법은 38년 전인 1987년 마지막으로 개정됐다. 38년 전의 우리나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수십 년에 걸친 군사독재가 막 끝난 상황이었고, 경제과 기술도 현재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런 1987년의 헌법에는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계속해서 나온다. 우선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력이 집중되어 있다. ‘제왕적 대통령제’라고도 불리는데, 권력을 분산시켜야 한다. 권력은 나눌수록

편집부

기후동행카드 할인 혜택 청소년 확대, 반가운 결정이다

서울시가 ‘규제철폐안’을 발표해 기후동행카드의 청소년 할인 혜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만 13세부터 18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도 교통비 절감의 기회를 제공하는 조치로, 이전까지 기후동행카드 정책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의 불만을 해소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교통비 할인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서울시는 이미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교통 정액권 정책을 통해 교통

편집부

우리에게도 세월호 참사는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토끼풀의 편집장 문성호입니다. 지난 4월 10일, 안산에 다녀왔습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에 있기 때문입니다. 안산은 은평구에서 지하철로 대략 한 시간 반이 조금 넘게 걸립니다. 경로에 GTX가 포함돼 있어 비용도 꽤나 많이 듭니다. 그럼에도 제가 시험 기간에 안산에 다녀온 이유는 세월호 참사에 대해 제대로 된 글을

문성호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승객을 탈출시켜야 한다” 누구도 말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가 가라앉았다. 이 사고로 304명의 무고한 생명이 희생됐다. 이 중 248명이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이었고, 10명은 단원고 선생님이었다. 일반인 승객은 41명이었다. 모두 172명이 살아남았다. 단원고 학생 75명과 선생님 3명, 일반 탑승객 94명이 구조됐다. 이 사고는 전국에 실시간으로 방송됐다. 학생들과 탑승객들이 목숨을 잃는 과정이 전부 보도됐고, 기자들은

문성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