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7일, 유네스코(UNESC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는 한때 세계 최대의 금광이었던 일본 사도섬의 사도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했다. 사도광산은 제주도의 절반 정도 크기인데, 이런 화려한 사실 뒤에는 조선인들의 피나는 노력이 숨어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조선인 2천 명가량을 강제로 징용해 사도광산에서 노역하게끔 했으며, 이 조선인들에게 임금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다.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가 인정한 148명의 사도광산 강제노역 피해자 중 절반가량인 73명이 진폐증 등 후유증을 앓았고, 미쓰비시광업이 1943년 작성한 문서에 따르면 위험한 갱내 노동자 중 73%가 조선인이었다고 한다. 이 외에도 조선인들을 강제로 데려가 착취했다는 증거는 차고 넘친다.
사도광산 갱도의 모습 [연합뉴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런 아픔의 역사를 무시한 채 지난 2022년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하는 것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에 한국 정부와 중국, 러시아 정부는 강력히 반대했지만, 한국 대선이 치러지고 정권이 교체된 후 새 정부에서는 일본이 사도광산과 관련한 전체 역사를 반영하고, 조선인 강제 노역과 관련한 전시물도 설치한다는 조건으로 일본과 협상해 등재에 찬성했다. 하지만 일본 유력 언론에서는 이를 부정하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27일 한·일 정부가 ‘강제 노동’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고, 일본 정부 관계자도 산케이신문에 “강제 노동이 아니라는 일본 정부의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한 8월 6일 외교부가 이재정 국회의원실에 보낸 자료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조선인 강제 노역 전시물 설치 예정지에 ‘강제’라는 표현을 명시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이러한 핵심 요구 사항을 일본 측에서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애매모호하게 낮은 자세로 협상했다는 정황이 나오자, 사회 각계각층에서 비판이 계속되고 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한국이 유리하게 협상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왜 이렇게 쉽게 포기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처음부터 세계유산으로 등재해주자는 결론을 정해놓고 협상에 임한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든다"고 지적했고, 민족문제연구소는 "한·일 관계 개선이라는 명목으로 역사의 진실을 일본 정부에 양보한 외교 실패"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상황인데도 외교부는 오히려 협상 내용을 숨기려 들고 있고, “한·일 관계 개선의 흐름을 계속 이어 나가길 기대한다”는 등 굉장한 성과를 거둔 것처럼 꾸민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있다.
사도광산의 위치 [동아일보]
일본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전통 수공업의 수준을 높여 구미의 기계화에 견줄 만한 일본의 독자적 기술의 정수였던 사도광산이 드디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고 말했고, 가미카와 요코 외무상은 “세계유산위원회 전 위원국 합의로 세계유산에 등재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렇게 우리 선조들이 강제로 끌려가 노동했던 시설이 휘황찬란하게 꾸며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에는 제대로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우리의 책임도 있을 것이다. 지금이라도 일제강점기 강제노역·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가져 보는 건 어떨까.
관련 유튜브 영상무한도전 - 하시마 섬(군함도) 투어